해외직구를 할 때는 정확한 주소 입력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Republic of Korea’와 ‘South Korea’ 중 어떤 표현을 사용할지 고민한 적이 있으신가요? 두 표현 모두 대한민국을 의미하지만, 잘못 기재하면 물건이 북한으로 잘못 배송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얼마 전, 저는 이베이(eBay)에서 카메라 액세서리를 주문하면서 주소 입력 실수로 아찔한 경험을 했습니다.
평소처럼 ZIP CODE 없이 주소를 작성하고 ‘South Korea‘라고만 적었는데, 발송 후 배송 추적을 확인하던 중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배송지가 ‘North Korea’, 즉 북한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접수 직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한 것이었지만, 자칫하면 배송 지연이나 분실로 이어질 수도 있었던 상황이었습니다.

해외직구 시 주소 입력
구분 | 한국어 표현 | 영문 표현 (English) |
---|---|---|
국가명 | 대한민국 | Republic of Korea |
행정구역 – 도 | 경기도 | Gyeonggi-do |
행정구역 – 시 | 서울특별시 | Seoul Special City |
행정구역 – 군 | 강원도 철원군 | Cheorwon-gun, Gangwon-do |
행정구역 – 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Haeundae-gu, Busan Metropolitan City |
도로명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22 | 22, Myeongdong-gil, Jung-gu, Seoul |
지번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123-45 | 123-45, Yeoksam-dong, Gangnam-gu, Seoul |
우편번호 | 04524 | 04524 |
직구할 때 주소를 입력할 때 ZIP CODE(우편번호)를 누락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북한을 최종 목적지로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 경우에도 트래킹 정보에서 최종 도착지가 ‘DPRK’로 표시되어 있었는데, 이는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잘못 표시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즉시 판매자와 연락을 취했는데, 다행히 주소에 ‘South Korea’라고 명확하게 적혀 있었기 때문에 경유지에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배송 과정에서 ‘South Korea‘로 표기된 경우 국제적인 관례상 남한으로 처리되지만, ‘Republic of Korea‘라고 적으면 일부 시스템에서 북한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소 오류가 발생하면 배송 경로를 수정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제 경우에도 택배가 노르웨이를 비롯한 여러 국가를 경유한 뒤 남한으로 재설정되어 도착하는 데 10일 이상이 추가로 걸렸습니다.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 고객센터에 전화 상담을 진행하면서 시간과 비용이 더 들었습니다.
마치며
결국 해외직구 시에는 ZIP CODE를 반드시 포함하고,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대한민국을 표시할 때는 ‘South Korea‘라고 쓰는 것이 안전한 선택입니다. 이 작은 주의사항만으로도 큰 불편을 예방할 수 있으니, 해외직구를 계획 중이라면 꼭 기억하시고 원활한 쇼핑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