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후 한국에 입국할 때 면세 혜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주류 반입 기준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부터는 비행기 탑승 후 면세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주류의 병 수 제한이 사라지고, 총 용량 2L 및 가격 400달러 이하만 충족하면 다양한 조합으로 주류를 반입할 수 있습니다.

2025년 면세 주류 반입 기준
변경된 주요 사항
- 기존 규정: 최대 2병, 2L 이하, 400달러 이하
- 2025년 이후 변경 내용:
- 병 수 제한 없음(수량 제한 없이 반입 가능)
- 2L 이하 및 400달러 이하 면세 적용 유지
- 기준 초과 시 세금 부과
- 기본 면세 한도: 1인당 800달러
- 주류 면세 한도: 2L 이하 & 400달러 이하(기본 면세 한도와 별도로 적용)
- 미성년자(만 19세 미만)는 주류 반입 불가
추천 주류 리스트(면세점 베스트셀러)
종류 | 이름 | 맛 특징 | 가격(대략) |
---|---|---|---|
양주 | 발렌타인 17년 | 부드럽고 깊은 풍미, 약간의 달콤함과 스모키함 | 80~100달러 |
양주 | 조니워커 블루 라벨 | 부드럽고 복합적인 맛, 캐러멜과 과일의 향이 느껴짐 | 200~250달러 |
양주 | 골드 라벨 리저브 | 부드럽고 견과류와 바닐라향 | 50~70달러 |
양주 | 더 글렌리벳 18년 | 풍부한 과일향, 스파이스와 오크의 조화 | 60~80달러 |
양주 | 라가불린 16년 | 스모키한 맛, 묵직한 피트 향 | 70~90달러 |
양주 | 아드벡 10년 | 스모키하고 피트향, 강한 맛이 특징 | 50~70달러 |
양주 | 부시밀스 16년 | 부드럽고 달콤한 맛, 다양한 향이 느껴짐 | 50~70달러 |
양주 | 하버드 12년 | 향긋하고 달콤한 풍미 | 60~80달러 |
양주 | 헤네시 XO | 깊은 향의 코냑, 풍부한 과일향과 오래된 나무의 노트 | 150~200달러 |
양주 | 더 댈모어 12년 | 과일과 샤모와의 향기로운 조화 | 70~90달러 |
양주 | 녹턴 21년 | 부드럽고 향기로운 맛의 오래된 위스키 | 200~250달러 |
양주 | 커티사크 골드 | 라이트하고 플로럴한 노트 | 40~60달러 |
와인 | 샤토 마고 2015 | 강렬하고 복합적인 맛, 베리와 스파이스 향 | 1,200~1,500달러 |
와인 | 라피트 로칠드 2014 | 부드럽고 섬세한 미네랄, 흑과일 향이 풍부함 | 600~800달러 |
와인 | 무뇨 2009 | 과일과 오크향의 조화, 부드러운 목넘김 | 50~80달러 |
와인 | 에이브럼 2017 | 단맛과 과일향이 가득, 산미도 적당 | 40~60달러 |
와인 | 펜폴드 2016 | 풍부한 베리향과 미네랄, 긴 여운 | 50~70달러 |
와인 | 로버트 몬다비 카버네 소비뇽 | 스파이스와 베리향, 섬세한 미네랄 향 | 60~90달러 |
와인 | 블랙 타워 | 과일향과 가벼운 바디의 화이트 와인 | 20~30달러 |
와인 | 오스프리 2015 | 베리와 오크향의 조화, 긴 여운 | 70~100달러 |
와인 | 마르케스 데 리스칼 리제르바 | 달콤한 과일과 바닐라, 미세한 오크 향 | 50~70달러 |
와인 | 미쏘니 | 세련되고 복합적인 맛, 다채로운 과일향 | 80~100달러 |
와인 | 오피머스 25년 | 강한 스파이스와 풍부한 베리 향 | 150~180달러 |
와인 | 보겔츠 | 부드럽고 풍부한 맛 | 20~30달러 |
위스키 | 글렌피딕 18년 | 과일향, 오크의 맛이 균형 잡힌, 부드러운 목넘김 | 80~100달러 |
위스키 | 맥캘란 12년 | 풍부한 오크향과 말차, 건포도의 단맛이 느껴짐 | 60~80달러 |
위스키 | 글렌모렌지 네이티브 14년 | 바닐라, 과일, 오크의 맛이 어우러진 깊은 풍미 | 50~70달러 |
위스키 | 톰킨스턴 18년 | 강한 피트향, 스모키하고 짙은 풍미 | 50~70달러 |
위스키 | 에버글렌 15년 | 부드럽고 다양한 향, 부드러운 목넘김 | 50~70달러 |
위스키 | 보울리 21년 | 강한 피트향, 스모키하고 짙은 풍미 | 50~70달러 |
위스키 | 발렌타인 12년 | 미묘한 스모키함, 기름진 맛이 느껴짐 | 50~70달러 |
위스키 | 그린글렌 12년 | 강한 과일향, 부드러운 입맛 | 60~80달러 |
위스키 | 발베니 더블우드 | 과일과 향신료의 복합적인 맛 | 70~90달러 |
위스키 | 라프로익 10년 | 피트와 스모크의 완벽한 조화 | 50~70달러 |
위스키 | 야마자키 12년 | 일본식 정교함과 부드러운 과일향 | 120~140달러 |
면세 한도와 과세 기준 비교
구분 | 면세 한도 | 초과 시 세금 부과 기준 |
---|---|---|
주류 | 최대 2L & 400달러 이하 | 용량 초과(2L↑) 또는 금액 초과(400달러↑) 시 전체 금액 과세 |
담배 | 궐련 200개비 / 엽궐련 50개비 / 전자담배 니코틴 20ml 이하 | 초과 시 개별소비세, 담뱃세 등 추가 |
향수 | 100ml 이하 | 초과 시 관세 부과 |
일반 면세 한도 | 1인당 800달러 | 초과분 전체 과세 |
주류는 기본 면세 한도인 800달러와 별도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2L 이하 및 400달러 이하의 주류와 함께 800달러 이하의 일반 물품까지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면세 한도 내 주류 구매 추천 조합
2025년부터 병 수 제한이 사라져 다양한 조합이 가능합니다.
아래 예시를 참고하여 면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해 보세요.
조합 | 주류 종류 | 총 용량 | 면세 여부 |
---|---|---|---|
와인 1L + 위스키 1L | 와인(1L) + 위스키(1L) | 2L | 면세 |
위스키 750ml × 2 + 와인 500ml | 위스키(750ml × 2) + 와인(500ml) | 2L | 면세 |
맥주 330ml × 6 | 330ml 맥주 6캔 | 1.98L | 면세 |
200ml 위스키 × 10 | 미니어처 위스키(200ml × 10) | 2L | 면세 |
위스키 1L × 2 + 와인 750ml | 위스키(1L × 2) + 와인(750ml) | 2.75L | 과세(0.75L 초과) |
유의 사항: 2L 또는 400달러를 초과할 경우 면세 혜택이 적용되지 않으며, 초과된 전체 금액에 대해 세금이 부과됩니다.
면세 한도 초과 시 세금 계산법
세금 계산 방식: (총 구매 금액 – 면세 한도) × 세율
주류 종류 | 세율 |
---|---|
와인 | 68% |
위스키, 보드카, 브랜디 | 156% |
고량주(중국술) | 177% |
예제 계산
- 1L짜리 위스키(500달러)를 구매한 경우
- 면세 한도 초과 금액: 500 – 400 = 100달러
- 세율 적용(위스키 156%): 100 × 156% = 156달러
- 최종 부담액: 500달러(구매 가격) + 156달러(세금) = 656달러
고가 주류를 구매하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세요!
면세 혜택 유지하는 5가지 팁
- 2L 및 400달러 한도를 활용해 다양한 주류 조합 구성하기
- 주류 면세 한도와 별도로 800달러 일반 면세 한도도 고려하기
- 면세점에서 구매한 주류는 개봉하지 않고 원래 포장 상태로 입국하기
- 해외 공항 면세점에서 구매한 경우 밀봉(STEB 봉투) 상태 유지하기
- 면세 한도를 초과하면 세관에 자진 신고하여 세금 30% 감면받기
주류는 기내 반입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수하물로 부쳐야 합니다.
마치며
2025년부터 주류 병 수 제한이 사라지면서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졌습니다.
다만, 2L 및 400달러 한도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이를 고려해 최적의 조합을 계획하세요.
TIP: 여러 병을 조합하여 2L 한도를 채우고, 400달러 내에서 다양한 주류를 선택하면 면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여행과 알뜰한 면세 쇼핑 되세요!
자주 묻는 질문들 (FAQ)
750ml 위스키 3병을 반입하면 면세가 될까요?
아닙니다. 총 용량이 750ml × 3 = 2.25L로 2L를 초과하므로, 초과된 0.25L에 대해 세금이 부과됩니다.
면세 한도 내 주류와 800달러 이하의 일반 상품을 함께 구매해도 되나요?
네, 가능합니다. 주류 면세 한도(2L, 400달러)는 기본 면세 한도(800달러)와 별도로 적용됩니다.
기내에서 면세점에서 구매한 주류를 개봉하면 어떻게 되나요?
면세 혜택이 취소되며, 세금이 부과됩니다. 한국 도착 전까지 개봉하지 마세요!
해외 공항 면세점에서 구매한 주류도 한국 입국 시 면세가 적용되나요?
네, 2L 및 400달러 이내라면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밀봉된 STEB 봉투를 유지하고 영수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면세 한도를 초과했는데 신고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적발될 경우 가산세 및 과태료가 부과되며, 이후 세관 검사가 강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진 신고하면 세금이 30% 감면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