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씨앗통장 신청 방법 및 절차, 지원 대상, 매칭금 활용법 총정리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 진출 준비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힘든 아동•청소년들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자산형성 지원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디딤씨앗통장입니다.

이 제도는 단순한 저축을 넘어, 아동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국가가 함께 자립 자금을 모아주는 든든한 지원책입니다.

Best Notes 1 001

디딤씨앗통장이란?

디딤씨앗통장은 보호대상아동과 저소득층 아동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같은 금액의 매칭 지원금을 더해 주는 제도입니다.

아동이 사회에 나가 학업•기술훈련•취업•창업•주거 마련 등 초기 비용을 충당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매칭 비율: 1:2 (아동이 5만 원 저축 시, 정부가 최대 10만 원 지원)
  • 최대 지원: 월 10만 원 매칭
  • 시작 연령: 만 0세 ~ 17세까지 가입 가능
  • 지원 기간: 가입 시점부터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 대상

1. 보호대상아동

  • 아동복지시설•공동생활가정•가정위탁아동
  • 장애인생활시설 아동, 소년소녀가정 아동 등

2.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 아동

3. 차상위계층 아동

  • 한부모가족, 장애인부모, 청소년한부모가족 등

4. 기가입 아동 중 가정복귀•탈수급가구 아동

  • 가정 복귀 또는 수급 자격이 변동되어도 지원 계속 가능

적립 및 매칭 방법

  1. 기본 매칭
    • 아동(또는 보호자)이 월 5만 원 저축 → 국가가 동일 금액을 매칭 지원
    • 최대 월 10만 원까지 매칭 가능
  2. 추가 적립
    • 개인•기업 후원금 등 추가 저축 가능 (월 최대 45만 원까지 가능)
    • 단, 추가금에 대해서는 국가 매칭 지원 없음

적립금 사용 용도

디딤씨앗통장의 적립금은 단순 생활비가 아니라, 아동이 미래를 준비하는 자립 자금으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 학자금: 대학 등록금, 기숙사비, 학업 연장 지원비
  • 기술자격 및 취업 관련 비용: 국가기술자격 취득, 취업훈련비, 시험 응시료
  • 창업지원금: 사무실 보증금, 장비 구입, 시설 설치비
  • 주거마련지원: 전•월세 보증금, 주거 이전 비용
  • 의료비 지원: 치료비, 입원비 등
  • 결혼자금: 결혼 준비 및 생활 정착 비용

만 24세 이후에는 사용 용도 제한 없이 전액 인출 가능

신청 방법

  1. 방문 신청
    •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 상담 및 신청서 작성
  2. 온라인 신청
    • 복지로 접속 → [복지서비스 신청] →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선택

신청 절차

  1.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2. 대상자 통합 조사 및 심사
  3. 대상자 확정
  4. 서비스 지원 (계좌 개설 및 매칭 지원 시작)
  5. 사후 관리 (저축 현황 관리 및 자립 교육 등)

문의처

마치며

디딤씨앗통장은 단순히 돈을 모으는 통장이 아닙니다.

아동이 자신의 미래를 계획하고, 안정적으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도록 돕는 첫 번째 발판입니다.

지금 주변에 해당되는 아동이 있다면, 꼭 이 제도를 알려주세요. 작은 씨앗이 모여 큰 나무로 자라는 것처럼, 디딤씨앗통장이 아이들의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