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2일부터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이른바 단통법이 전면 폐지되었습니다. 2014년 시행 이후 10년 넘게 유지되던 이 법은 통신시장의 가격 혼란을 막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역할을 해왔지만, 복잡한 지원금 구조와 제한된 혜택으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도 컸습니다.
단통법이 폐지되면서 핸드폰 시장의 판도가 크게 바뀌고 있으며, 특히 자급제 이용자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단통법 폐지, 무엇이 달라졌나요?
기존 단통법 하에서는 지원금 지급 방식에 여러 제한이 있었습니다.
- 공시지원금 또는 요금할인 중 하나만 선택
- 대리점의 추가지원금은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
- 지역이나 나이, 이용자 유형에 따라 차별적 혜택 제공 금지
하지만 단통법 폐지 후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 공시지원금 + 추가지원금 동시 적용 가능
- 선택약정과 요금 할인 병행 가능
- 지원금 상한 제한 폐지 (자율화)
- 자급제 단말기에도 혜택 확대 가능성
단통법 폐지로 자급제가 유리해진 이유
단통법 폐지 이후 자급제(통신사 대리점을 거치지 않고 공기계를 직접 구매하는 방식) 이용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원금 조건에서 자유롭다
- 통신사의 공시지원금과 무관하게 카드 할인, 제조사 이벤트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요금제 선택이 자유롭다
- 약정에 묶이지 않고 저렴한 요금제나 알뜰폰 요금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초기 비용 절감
- 온라인 특가나 제조사 직영몰 프로모션을 통해 단말기를 더 저렴하게 구매 가능.
- 향후 보조금 혜택 증가 가능성
- 정부는 자급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 중이며, 이로 인해 자급제 이용자 혜택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단말기 구매 시 꼭 확인할 점
- 최소 2곳 이상의 판매처에서 가격 비교
- 계약서에 지원금, 위약금, 조건을 명확히 기재
- ‘공통지원금’ 표시 여부 확인
- 추가지원금은 온라인 또는 직접 문의 필요
- 요금제 조건 및 위약금 확인
자급제 vs 기기변경, 어떤 게 유리할까?
| 항목 | 자급제 | 기기변경(통신사) |
|---|---|---|
| 단말기 구매처 | 온라인몰, 제조사 직영몰 등 | 통신사 대리점 |
| 요금제 자유도 | 알뜰폰, 저가 요금제 자유롭게 선택 | 통신사 요금제 선택 필요 |
| 보조금 방식 | 카드 할인, 제조사 이벤트 중심 | 공시지원금 + 추가지원금 적용 |
| 초기 비용 | 상대적으로 저렴할 수 있음 | 경우에 따라 더 저렴할 수 있음 |
| 혜택 중심 | 제조사 프로모션 위주 | 통신사 중심 혜택 |
결론
단통법 폐지는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권을 넓히고, 더 합리적인 가격에 스마트폰을 구매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특히 자급제 이용자에게는 요금제 선택의 자유와 다양한 프로모션 활용이라는 큰 장점이 따릅니다.
단말기 구매를 고민 중이라면, 공시지원금과 추가지원금의 조합, 자급제 단말기 혜택, 요금제 선택의 자유로움 등을 잘 비교해 보세요. 2025년, 스마트한 소비를 위한 가장 현명한 방법은 단통법 폐지 이후 달라진 시장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2025 교보문고 손글씨 대회] 입선 결과 발표 시간 및 확인 방법 4 Best Notes 2 copy 001 1](https://bestnotes.co.kr/wp-content/uploads/2025/07/Best-Notes-2_copy-001-1.webp)

댓글 남기기